본문 바로가기
건강, 영양제

공액리놀레산의 효능과 작용 기전

by 원샷-팩트 2025. 4. 4.

공액리놀레산의 효능 및 작용 메커니즘: 글로벌 연구에 대한 종합적 검토

공액리놀레산(CLA)은 리놀레산의 이성질체 그룹으로, 반추 동물의 육류 및 유제품에 자연적으로 존재하며, 특정 식물성 기름에서도 합성될 수 있습니다. CLA는 체중 관리, 체성분 조절, 암 예방, 포도당 대사 조절 및 면역 기능 향상 등 다양한 건강상의 이점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습니다. 본 보고서는 영어, 일본어, 프랑스어 및 독일어 문헌을 포함한 글로벌 연구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CLA의 효능과 작용 메커니즘에 대한 최신 과학적 이해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CLA와 체성분

체중 감량 및 지방 감소 효과

CLA가 체중 감량 및 체지방 감소에 기여할 수 있다는 주장이 있지만, 인간 연구에서는 그 효능과 안전성이 일관되게 입증되지 않았습니다. 2019MedicalNewsTodayAmy RichterMary West의 메타 분석에 따르면 CLA 보충제는 메스꺼움, 복부 불편감, 두통 등의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2017년 쥐 연구에서는 CLA가 피하 지방 감소를 유발했지만 내장 지방 감소에는 미미한 영향을 미쳐, 칼로리 제한을 통한 체중 감량보다 대사적으로 덜 건강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2003Journal of Lipid Research의 검토에서는 CLA가 인간의 체중 감소나 체성분 개선에 효과적이라는 증거가 제한적이라고 결론지었습니다. 반면, 2007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Leah D Whigham, Abigail C Watras, Dale A Schoeller가 발표한 메타 분석에서는 하루 3.2gCLA가 인간의 체지방을 약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12European Journal of NutritionOnakpoya IJ 등의 메타 분석에서는 CLA가 체중과 지방 감소에 작은 효과를 보였지만 임상적 관련성은 불확실하다고 지적했습니다. 2023British Journal of NutritionOmid Asbaghi 등의 메타 분석에서도 CLA가 체중, BMI, 허리 둘레 및 지방량을 유의미하게 감소시켰지만, 그 효과는 작고 임상적으로 중요하지 않을 수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그러나 2004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Jean-Michel Gaullier 등이 발표한 연구에서는 1년간의 CLA 보충이 체지방을 9% 감소시키고 제지방 근육량을 2% 증가시키는 더 뚜렷한 효과를 보고했습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의 변동성은 CLA의 효과가 용량, 기간, 이성질체 및 개인의 특성과 같은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근육량에 미치는 영향

CLA가 근육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결과는 지방 감소에 비해 덜 일관적입니다. 2004년 소규모 연구에서는 CLA가 남성 운동선수의 근육량 증가를 유발할 수 있다고 시사했지만, 2016Journal of Strength and Conditioning ResearchKreider RB 등이 발표한 연구에서는 저항 운동 중 CLA 보충제가 제지방량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에 언급된 2003년 연구에서는 14주간의 저항 운동 프로그램과 함께 매일 5g의 혼합 CLA를 섭취한 건강한 남녀에서 근육량 증가가 보고되었습니다. 2004Gaullier 등의 1년 연구에서도 CLA 보충제를 받은 과체중 개인에서 제지방 근육량이 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2023Asbaghi 등의 메타 분석에서도 고품질 연구에서 CLA 섭취와 관련된 제지방량의 작은 증가가 관찰되었습니다. 일본, 프랑스, 독일 문헌에서도 CLA가 근육량 증가에 잠재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는 유사한 연구 결과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CLA가 근육 성장에 신뢰할 수 있는 보충제인지 여부는 불확실하며, 그 효과는 연구 대상 및 운동과 같은 다른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CLA의 작용 메커니즘

지방세포(지방 세포)에 미치는 영향

CLA는 지방세포에 다양한 방식으로 작용하여 체성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여겨집니다. 동물 연구에 따르면 CLA는 음식 섭취량 감소, 지방 연소 증가, 지방 분해 촉진 및 지방 생성 억제와 같은 메커니즘을 통해 체지방을 줄일 수 있습니다. 2019Laura J den Hartigh의 검토에서는 CLA10,12 이성질체가 설치류 모델에서 지방 산화를 촉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백색 지방 조직의 갈색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2022Frontiers in Nutrition에 발표된 Zhang 등의 연구에서는 CLAPPARα 신호 전달 경로를 활성화하여 근육 내 지방 축적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시사했습니다. 2013Lipids in Health and Disease에 발표된 Shen 등의 연구에서는 CLA10,12 이성질체와 혼합물이 쥐의 백색 지방 조직에서 갈색화 마커를 증가시키고 지방 축적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2009년 연구에서는 10,12 CLA가 지방세포에서 염증을 유발하여 인슐린 저항성을 유발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기했습니다. CLA가 지방세포에 미치는 영향은 복잡하며, 특정 이성질체, 용량 및 생리적 맥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유전자 발현 조절

CLA는 주로 PPARs를 통해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미쳐 생물학적 효과를 나타냅니다. 쥐 연구에서는 10,12 CLA 이성질체가 시상하부에서 식욕 조절에 관여하는 뉴로펩티드 유전자 발현 비율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그러나 고용량의 CLA는 지방산 산화 및 지방 분해 관련 유전자 발현을 감소시키고 지방 생성 관련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CLA의 유전자 발현 조절 효과는 이성질체, 용량 및 조직 유형과 같은 요인에 따라 복잡하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신호 전달 경로 관여

CLAPPARα에 결합하여 지방산 대사 및 염증 반응에 영향을 미치고, PPARα에 대한 내인성 리간드 생성을 자극할 수 있습니다. 또한, 세포 분화에 관여하는 JNK 신호 전달 경로와도 상호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신호 전달 경로에 대한 CLA의 관여는 지질 대사뿐만 아니라 염증 조절 및 세포 분화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일본, 프랑스, 독일 연구에서도 CLA가 지방 분해, 지방 생성 및 지방산 산화와 같은 기본적인 대사 과정에 영향을 미친다는 유사한 결과를 보고하고 있습니다.

CLA와 암

항암 특성

CLA의 항암 활성은 Michael Pariza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습니다. 쥐 연구에서는 CLA 보충제가 유방암, 결장암, 위암, 전립선암 및 간암 모델에서 개선을 보였습니다. 인간 연구에서는 우유 섭취와 유방암 또는 결장암 위험 감소 간의 역 상관관계가 관찰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2002Arterburn 등의 연구에서는 CLA 보충제가 전립선암, 폐암 및 유방암에 제한적인 효과를 보였으며, 일부 연구에서는 종양 진행을 촉진할 수 있다는 결과도 있었습니다. 8건의 임상 시험에 대한 메타 분석에서는 CLA 보충제가 위약에 비해 유방암 재발률을 22%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CLA의 항암 효과는 암의 종류, 단계, CLA 용량 및 기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동물 연구와 인간 연구 간의 결과 차이는 이러한 복잡성을 반영합니다.

항암 작용 메커니즘 

CLA의 항암 작용 메커니즘은 종양 세포 사멸 유도, 항혈관신생 특성 발현 및 암세포 유전자 발현 조절을 포함합니다. CLAnordihydroguaiaretic acid (NDGA)와 같은 다른 화합물과 함께 유방암 세포 증식을 억제하는 시너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발암 물질 활성화 효소 억제 및 암 발생의 모든 단계에 대한 보호 효과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장내 특정 박테리아에 의해 생성된 CLA 대사 산물은 특히 대장암에서 항암 효과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메커니즘은 CLA가 암 발생 및 진행에 중요한 여러 경로를 표적으로 삼을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일본, 프랑스, 독일 연구에서도 동물 모델에서 CLA의 항암 효과를 보고하고 있으며, 이는 인간 대상 추가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CLA와 포도당 대사

혈당 조절 및 인슐린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CLA가 포도당 대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양하고 때로는 모순됩니다. 2004Riserus 등의 연구에서는 CLA 보충제가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인슐린 및 포도당 대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Martha A. Belury의 연구에서는 CLA, 특히 t10c12-CLA 이성질체가 당뇨병 환자의 혈당 수치를 낮추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시사했습니다. 2023Ghodoosi 등의 메타 분석에서는 CLA 보충제가 심혈관 질환 위험이 증가한 환자의 공복 혈당을 유의미하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2017Alaei-Shahmiri 등의 연구에서는 CLA 보충제가 제2형 당뇨병 환자의 혈당 조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WebMDCLA 보충제가 당뇨병을 악화시키고 대사 증후군 환자의 당뇨병 발병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했습니다. 이러한 불일치한 연구 결과는 CLA의 효과가 이성질체, 용량, 기간 및 개인의 대사 건강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특히 t10c12-CLA 이성질체는 일부 연구에서 인슐린 저항성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일본, 프랑스, 독일 연구에서도 CLA가 인슐린 감수성 및 혈당 조절에 잠재적인 이점을 제공할 수 있지만, 특정 이성질체의 경우 인슐린 저항성 증가 위험도 있다는 유사한 결과를 보고하고 있습니다.

CLA와 면역 기능

면역 체계 조절

CLA는 면역 체계를 조절하는 잠재력에 대해 연구되었습니다. 2005Song HJ 등의 연구에서는 CLA 보충제가 건강한 성인의 혈장 IgA IgM 수치를 증가시키고 IgE 수치를 감소시키며, 전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감소시키고 항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12년 버지니아 공과대학교의 연구에서는 CLA 보충제가 크론병 환자의 증상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시사했습니다. 2023Rastgoo 등의 메타 분석에서는 CLA 보충제가 IL-6 TNF-α 수치를 유의미하게 감소시키고 CRP 수치를 약간 증가시켜, 전 염증성 및 항 염증성 역할을 모두 수행할 수 있음을 시사했습니다. 2004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의 검토에서는 CLA가 면역 체계를 강화하고 염증을 감소시켜 인간 건강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했습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CLA가 면역 조절 효과를 나타내며, 염증성 질환에 잠재적인 이점을 제공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일본, 프랑스, 독일 연구에서도 CLA가 면역 기능 개선 및 알레르기 반응 억제에 기여할 수 있다는 유사한 결과를 보고하고 있습니다.

결론 및 향후 방향

결론적으로 CLA는 다양한 건강 측면에 걸쳐 잠재적인 이점을 보여주었지만, 인간 연구에서는 그 효과가 종종 미미하거나 일관성이 없습니다. 체성분, , 포도당 대사 및 면역 기능에 대한 CLA의 효과는 연구마다 다양하게 나타나며, 이는 이성질체, 용량, 기간 및 개인의 특성과 같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불일치와 불확실성을 해결하기 위해 잘 설계된 장기적인 인간 임상 시험이 필요하며, CLA의 정확한 분자 메커니즘에 대한 추가 조사가 필요합니다.